티스토리 뷰
이노시톨의 9가지 이성질체 중에는 D-키로이노시톨이 있습니다. 이건 함부로 많이 먹어서는 안될 성분입니다.
이노시톨과 화학식이야 같지만 결합방식이 다르며 몸 속에서 하는 역할도 다릅니다.
일단 국내에서는 D-키로이노시톨은 식품의 원료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. 외국 제품에서나 등장하는 성분입니다.
2011년 발표된 논문. D-키로이노시톨을 하루에 1.2g씩 써봤던 연구가 있습니다.
제목은 "마이오이노시톨이 D-키로이노시톨보다 더 낫다."
시험관 시술을 받는 여성들을 두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에는 마이오이노시톨 하루에 4g, 나머지 한 그룹에는 D-키로이노시톨 하루 1.2g을 투여해봤는데, 그 결과 마이오이노시톨을 먹은 그룹에서는 성숙난자가 더 많이 나왔지만, D-키로이노시톨을 쓴 그룹에서는 미성숙난자가 마이오이노시톨 그룹보다 더 많이 나왔고, 배아의 질 역시 마이오이노시톨을 쓴 경우가 더 좋았습니다.
2012년에 발표된 또 다른 논문, 그 제목은 난소가 과연 D-키로이노시톨을 필요로 하는가? 입니다.
연구의 결론은 D-키로이노시톨(DCI)의 용량이 증가할 수록 난자의 질이 더 나빠지고 난소의 반응성도 더 떨어졌다는 것입니다.
DCI 용량이 300, 600, 2400mg로 늘어남에 따라 미성숙난자가 늘어났고(좌측 표), 반대로 1등급 배아의 발생율은 더 떨어졌습니다(우측 표).
그러므로 D-키로이노시톨을 고용량으로 먹거나 혹은 D-키로이노시톨만 단독으로 쓰는 일은 없어야 하겠습니다.
이탈리아에서 나오는 "디키로겐"이라는 제품이 있는데요, 이름이 "디키로겐"인 이유는 그 안에 D-키로이노시톨이 들어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됩니다. 이탈리아 해당 제조사의 제품 설명 자료에 보면 아래와 같이 제품 1봉지에 마이오이노시톨 2g 과 D-키로이노시톨 400mg이 들어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. 국내에서 유통 중인 제품은 이탈리아의 그것과 같은지, 다른지 모르겠습니다만, 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.
'이노시톨 자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이노시톨, 마이오이노시톨은 어떤 물질인가? (4) | 2023.10.13 |
---|---|
이노시톨과 조기 폐경 (0) | 2021.04.13 |
미오이노시톨과 이노시톨, 다른 건가? (15) | 2017.05.17 |
이노시톨의 효능 부작용 완전 정리 (15) | 2017.05.08 |
이노시톨, 마이오이노시톨의 기능, 효과 (7) | 2017.02.21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